정지한 이미지와 모션 간의 알레고리 Allegory of Still Image and Motion
2020
박지형 Jihyung Park

시간은 앞뒤로 흐르고, 때로는 멈추고, 지연되며, 반복된다. 오연진은 개인전 《The Very Eye of Night》에서 이미지의 시간 축에 상수값처럼 달라붙은 수사의 교차와 비틀기를 다룬다. 특히 그는 과거의 급진적인 광학 실험이나 이론적 발견을 현재의 시점으로 재소환하고 변용하며, 정지한(혹은 그렇다고 가정한) 형상의 움직임과 그 조건을 둘러싼 질문에 천착한다. 개연성이 없어 보이는 역사적 참조들 사이에서 이미지에 투사되는 시간의 흐름을 상상해본다. 무엇보다 예술로 범주화된 사진에 관한 비평 선례들의 비호 아래 있던 여러 명제(아날로그 사진의 진실성, 디지털 사진의 납작함, 무한 복제와 편집 등)가 무용지물이 된 시점에서, 작가 스스로 매체 이후(post-)의 존속 가능성을 써 내려가고 이를 다시 작품 안으로 소급하는 방식이 작업 전개의 핵심이 된다. 

그는 본 전시에서 ‘필름(막)’, ‘비눗방울’, ‘유체’, ‘아노토스코프’, ‘밤의 눈’ 등의 단어를 나열하고 있다. 이는 무용과 영화 분야에서 전위적으로 활동했던 마야 데렌(Maya Deren)과 벨기에의 물리학자였던 조셉 플라토(Joseph Plateau)의 창의적 실험과 발견으로부터 도출된 키워드이다. 그는 필름(혹은 막)이라는 지지체의 운동 가능성을 전제로 앞선 단어들 사이의 개념적 프로토콜을 재구성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움직이는 피사체의 연속 기록이나 렌즈의 물리적 이동에 따른 운동이 아니다. 예를 들어 작가는 틱톡(TikTok)과 같은 무빙 이미지 공유 플랫폼에서 무한히 증식하는 밈들의 루프는 예외 상황을 용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즉 동작의 조건이 이미 메트로놈의 기계적 반복처럼 고정값으로 확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를 ‘무빙’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입구와 출구가 없는 이미지의 무의미한 작용/반작용은 이미 결론 내려진 것, 말하자면 납작한 서사이자 고정된 시간을 표상하는 것이다. 대신 그에게 시간성을 담보하는 움직임이란 기존에 이미지가 실제로 존재하기 위한 준거가 되는 매개 변수가 언제든지 ‘무빙’할 수 있는 잠재 에너지를 확보한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오연진의 작업에서 다루어지는 시간과 움직임은 이미지의 표피에서 성급히 성취되기보다, 동적 변화를 암시하는 형태로 파생된다. 

다시 그가 제시한 단어들로 돌아가 보자. 〈Anorthoscope〉(2020)는 데렌의 생전 마지막 작품으로 알려진 〈밤의 눈(The Very Eye of Night)〉(1958)의 스틸컷과 작가가 3D 프로그램으로 만든 물의 관념적 이미지로 구성된다. 작가는 데렌의 댄스 필름이 강조하는 무용과 영화 간의 혼종성, 네거티브 필름 속 무용수의 바디스케이프와 포지티브 필름 위 하얀 별무리의 모호한 이접 속에서 ‘무빙’의 가능성을 본다. 이 초현실적인 영상은 단일한 시점의 장면을 상영한다기보다, 마치 안무가를 따라 여러 개의 조각난 시간과 공간에서의 카메라 워크가 덧씌워진 듯한 기묘한 느낌을 준다. 시간 축을 따라 흐르는 가시화된 움직임(춤의 상영) 속에서 비가시적인 영역의 또 다른 운동성(필름 자체가 움직이고 있다는 상상)을 감각하게 하는 것이다. 데렌의 작품이 품고 있는 두 운동 간의 입체적인 크로스 오버는 전시장에서 열 장의 사진과 그 사진의 전제 조건이 되는 열 개의 피사체-프레임의 나란한 배치로 전환되며, 19세기 초 플라토가 발명한 광학 장난감인 ‘아노토스코프’*라는 이름으로 명명된다. 작가는 관람자가 두 갈래로 길게 늘어선 이미지의 연쇄 사이에서 아노토스코프의 작동 원리와 〈밤의 눈〉의 연출 효과가 상징하는 가상의 운동을 경험해보기를 원했던 것일까?

작가는 아노토스코프를 고안했던 플라토가 비눗방울 막의 형성 원리를 법칙화하기도 했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비누 막과 데렌의 〈밤의 눈〉 사이의 광학적 상관관계를 더욱 파고든다. 〈Lamella〉(2020)는 얇은 기하학 형태의 구조물에 달라붙은 비눗방울을 찍은 연작 사진이다. 작가는 거품을 렌즈를 통해 순간적으로 포착된 피사체이자 곧 부서질 화면 위의 장막으로,  투명한 듯하지만 표면에 일렁이는 빛깔과 패턴을 가진 변덕스러운 필름으로서 인식한다. 거품은 액체가 표면장력을 확대하며 일시적으로 서로의 경계 면을 공유하는 순간에 납작하거나 볼록하게 나타났다가 이내 터져버리는, 존재하지만 거의 보이지 않는 연약한 것이다. 그러나 라멜라는 그의 사진 속에서 서로 겹쳐지고 뒤틀리는 찰나에 데렌의 영상 속 안무가처럼 극적인 구조를 만들어낸다. 비눗방울의 막과 표류하는 신체의 동작이 담긴 무빙 이미지는 서로 다른 지지체의 표면에 머무는 상(象)이면서도 시간에 따른 재현 구조의 변화 잠재력을 표상하는 무빙의 주체로서, 오연진의 작업 위에서 슬며시 겹쳐진다.  

노동집약적인 인화 과정을 거쳐 그 속에서 생성되는 변수들을 그대로 노출하는 작업의 외적 특성은 자칫 화학적, 물리적 차원의 다양한 효과를 살펴보는 것에 관람자의 경험을 한정 시킬 수 있다 (실제로 그러할 만큼 매혹적인 조형 언어를 갖추고 있으므로). 그러나 그가 제시하는 시각적 지표는 고정된 이미지의 표면적 상태를 바라보는 관습적 인식, 즉 무빙 이미지는 언제나 움직이고 정지 이미지는 항상 멈춰있는 것이라는 제한적 사고에 대한 의심이자 비판적 심문의 태도이다. 작가는 데렌과 플라토가 보여준 광학적 시도를 자신의 언어로 상충, 접합, 편집해가며 조금씩 사진의 시간성을 새롭게 써내려간다. 따라서 오연진의 작업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근미래 사이의 유동하는 시간을 내재한 일시적 양태로서 머무르고, 곧 ‘무빙’할 것이다. 진실로 움직이는 것은 무엇인가에 관한 해답을 찾아서. 

* 아노토스코프는 조셉 플라토가 고안한 무빙 이미지 장치로, 고정 이미지를 회전시켜 제3의 정지된 형상을 얻어내는 장치이다. 

Time is a relativistic space in which its movement can flow either forwards or backwards, and can even have the ability to stop or repeat itself. Yeonjin Oh addresses the concept of time as an illusion; in her solo exhibition, 《The Very Eye of Night》, she explores the nature behind the rhetoric of distortion and attempts to marry quantum mechanics with general relativity in relation to the constant value of the temporal axis. In particular, she recalls the theoretical discoveries made in the past alongside new radical optical experiments and re articulates these findings from a modern day perspective. In doing so, Oh is able to delve into the movement of these professedly still images and challenge its surroundings and essence; she imagines the flow of time projected onto images among seemingly unrelated historical references. Above all, her greatest concerns when approaching her works is considering the matter of sustainability post media constructions. She renders predetermined critical precedents around photography as ‘art’ – which includes the veracity of analogue photograph, the flatness of a digital photograph, and one’s capability to create infinite copies and edits – useless.

The artist enumerates several words like “film,” “bubble,” “fluid,” “Anorthoscope,” and “The Very Eye of Night.” These are the keywords that have been extracted from the creative experiments and discoveries of Maya Deren, the avant-garde dancer and filmmaker, and Joseph Plateau, a Belgian physicist. She reconstructs the conceptual protocol for the forgoing words, assuming the mobility of film as a supporting role. Her main focus is neither on the continuous record of the moving subject nor on the physical movement of the lens. Specifically, she determines that moving images from some social media platforms such as TikTok are ‘unmoving’ due to the fact that these kind of infinitely multiplying loops of memes do not allow for any anomalies, meaning that the very nature of these conditions are already in a fixated state, like a metronome, repeating mechanically. The meaningless action and reaction without a proper entrance or exit are predetermined, thus symbolizing its flat narratives and fixed time. To the artist, temporal movement is defined by the potential energy an image consumes to ‘move’ at any time. Therefore, time and movements from the artist’s works are not taken away from the surface of images, but derived from their implied dynamic changes.

Let us go back to the words she suggests. 〈Anorthoscope〉(2020) is composed of still cuts from 〈The Very Eye of Night〉(1958), which is the swan song of Deren and the conceptual images of water Oh created with 3D programs. Oh sees the possibility of ‘moving’ in the hybridity of dance and film that is epitomized in Deren’s work, and the vague disjunction between the bodyscape of dancers in the negative films and the cluster of white stars in the positive films. Instead of screening the scenes from a single point of view, this surreal video gives a strange feeling that the camera work follows the dancer towards multiple, scattered junctions of time and space. It creates a sense of invisible areas of movement where the film itself is moving beyond the visible realm along the temporal axis – the screening of dancing. In the exhibition, the dimensional crossover between the two movements in Deren’s film is converted to side-by-side arrangements of ten photographs and ten subject-frames prerequisite to those photos, called ‘Anorthoscope,’* which is the name of an optical toy invented by Plateau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In between the two sets of images, the artist might want the viewers to experience the virtual movement generated by the operational principle of Anorthoscope and the visual effect of 《The Very Eye of Night》.

Based on the fact that Plateau, who invented the Anorthoscope, also established the law of formation of bubble film, Oh delves deeper into the optical correlation between bubbles and Deren’s 〈The Very Eye of Night〉. 〈Lamella〉(2020) is a series of photographs of bubbles attached to thin geometrical structures. The artist perceives bubble as a subject captured through lens, a curtain on the screen soon to be scattered, and a changeable film with flickering colors and patterns though seemingly transparent. Bubbles are present at the same time rarely visible in that liquid, increases its surface tension and temporarily shares its border surface to another to be flat or swollen, and then pops. In 〈Lamella〉, however, a dramatic structure occurs at the moment of crossing and distorting like a choreographer in the Deren’s film. The moving images containing bubble’s film and floating body gestures are images on the surface of each supporter,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the agents of moving which demonstrates the potential changes of structures of representation depending on time.

The external aesthetics of the work might limit the viewer’s experience to observing a variety of chemical or physical effects of the work, since the labor-intensive printing process shows the results of variables without any adjustments – and the results do in fact have the kind of attractive formative language. But what the artist actually suggests is a critical assumption on the conventional perception of the appearance of still images or the limited thinking that moving images are always moving and still images are always still. She rewrites the temporality of photographs by contradicting, connecting, and editing the optical attempts that Deren and Plateau have made. Her works will stay for a moment as a temporal status implying past, present and near future, and soon start ‘moving,’ to find an answer to what is really moving.


* Anorthoscope is a moving-image device invented by Joseph Plateau that creates another still figure by spinning still images.